top of page

매주 나오던 집값, 이제 못 볼 수도?

  • 작성자 사진: BOODING
    BOODING
  • 24시간 전
  • 5분 분량
ree


서울 아파트

매매지수: 106.0 (▲0.19)

전세지수: 102.1 (▲0.15)


수도권 아파트

매매지수: 102.3 (▲0.13)

전세지수: 101.2 (▲0.11)


지방 아파트

매매지수: 99.3 (▲0.01)

전세지수: 100.1 (▲0.05)


100 이상: 가격 오름세 흐름

100 미만: 가격 내림세 흐름

11월 3일 기준, 한국부동산원 가격지수


[ 오늘 부딩 요약 ]

► 정부가 집값 통계 개편을 예고했습니다.

► 폐지·비공개 등 네 가지 안이 검토 중입니다.

► 통계가 늦어지면, 시장의 반응도 늦어집니다.


ree

매주 나오던 집값, 이제 못 볼 수도?

매주 보던 아파트값 통계가 바뀝니다. 이게 바뀌면 내 대출한도도, 내 집값 계산법도 달라집니다.




집값 통계, 왜 손봄?

한국부동산원이 매주 내는 주간 아파트값 통계가 존폐 기로에 섰습니다. 거래가 없어도 시세를 매기고, 그걸 언론이 받아쓰니 시장이 들썩인다는 겁니다. 여야는 폐지냐 보완이냐를 두고 갈렸고, 국토교통부는 여러 안을 저울질 중입니다.

▸ 주간 아파트값 통계 이모저모

•출발: 2013년 KB 등 민간 시세 혼란 막으려 도입

•장점: 실거래보다 빠름, 2023년 ‘집값 바닥’ 먼저 포착

•단점: 거래 없어도 시세 매겨 논란 지속

•특징: 주간 집값 발표는 한국뿐



네 가지 방안 중 선택! 

국토교통부도 현행 통계의 신뢰 한계를 인정했습니다. 이에 폐지·비공개·격주·월간 발표 등 네 가지 방안을 두고 검토 중입니다. 공통점은 하나입니다. 발표가 지금보다 늦어지거나 줄어듭니다.

▸ 고민되는 네 가지 선택지

•완전 폐지: KB 통계만 남음

→ 금융기관 기준이라 시장 변곡점 포착이 늦음

•발표 중단: 정부만 봄

→ 연 100억 원짜리 통계 독점, “왜 숨기냐” 논란 

•격주 발표: 상승폭 2배로 커 보임

→ 상승기엔 시장 자극 

•월간 전환: 한 달 뒤 추세 파악

→ 거래 신고 시차로 즉시성 떨어짐



통계가 사라지면 생기는 일 

주간 아파트값 통계의 향방을 조금 더 살핍니다.


Q 내겐 왜 중요할까? 

A 집 살 타이밍을 잡는 기준이기 때문입니다. 이게 없으면 ‘아, 지금 바닥이구나’ 싶은 순간을 놓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지하면 과민 반응에 휘둘릴 수도 있습니다. 


Q 만약 KB 시세만 남을 경우 뭐가 문제? 

A KB 시세는 은행이 대출한도를 정할 때 쓰는 ‘금융용 시세’입니다. 정부 통계가 빠지면 시장의 기준은 은행이 쥐게 됩니다.


Q 실거래가 중심으로 바꾸면 안 될까? 

A 거래가 없으면 통계가 끊기니까 문제입니다. 그 공백을 호가로 채우면 ‘실제보다 비싸다’는 비판이 나올 수도 있고요. 거래 신고도 최대 30일 뒤라, 온도차가 납니다.


Q 왜 세계에서 한국만 주간 집값 통계를 낼까? 

A 전체 주택의 65%가 아파트라 가능합니다. 거래 집중도가 높고, 정책에 대한 시장과 언론의 반응이 빠른 한국의 특성 때문입니다.



ree


2명 중 1명, 상승에 베팅

국민 2명 중 1명은 2026년 상반기 집값이 오를 거로 봤습니다(출처: 부동산R114). 응답자의 52%가 상승을 예상해 5년 만에 최고치입니다. 강남 3구 신고가 행진이 불안감을 키웠단 분석입니다. 직전 조사(2026년 하반기 전망)보다 상승 전망은 3%p, 하락 전망은 1%p 늘었습니다.




종묘 앞 개발, 서울시 vs 정부

정부가 서울시의 ‘세운4구역’ 고층화(145m)에 제동을 걸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가유산청이 “세계유산을 흔드는 개발”이라며 종묘 훼손 우려를 공개 비판했고, 학계도 “종묘의 존엄이 무너진다”며 거들었습니다. 서울시는 대법원 판결을 내세우며 “문제 될 게 없다”고 버티는 중입니다.




미성년자 첫 집 43% 급증

서울에서 미성년자의 첫 집 매수가 1년 새 43% 늘었습니다(출처: 법원등기정보광장). 전국에선 줄었는데 서울만 반대로 뛰었습니다. 서초·강남에 몰렸고, 대부분 거주보다 증여용이었습니다. “집값이 더 오르기 전에 하루라도 빨리 사두자”는 부모 세대의 판단이 작용했단 풀이입니다.




빚 갚는 사람이 늘어난 이유? 

10월 서울 경매 물건이 284건으로 올해 가장 적었습니다(출처: 법원등기정보광장). 서울 집값이 오르며 빚을 갚을 틈이 생긴 겁니다. 마포구는 전달보다 28건 줄어 감소 폭 1위였습니다. 다만 10·15 대책¹⁾으로 거래가 막히면 경매 물건이 다시 늘 수 있단 말도 나옵니다.

¹⁾ 10·15 대책: 서울 전역과 경기 12곳을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규제입니다. 




279주 만에 최대 상승

10·15 대책 규제에서 빠진 경기 일부 지역 아파트값이 들썩입니다(출처: 한국부동산원). 화성시는 2주 만에 0.26% 올라 61주 만에 최고, 구리시는 0.52%로 279주 만에 가장 크게 뛰었습니다. 규제지역인 용인시 수지 옆 기흥도 풍선효과¹⁾가 눈에 띕니다.

¹⁾ 풍선효과: 한 지역을 규제로 누르니 옆 동네의 집값이 부풀어오르는 걸 말합니다.



ree

〈수도권〉

•서울 신혼·청년 임차보증금 저금리 대출 최대 12년 지원

•서울 ‘청년안심주택’ 보증금 무이자 지원 중단 후 계약률 급감

•서울 지역주택조합 부정행위 550건 적발


•강남 ‘개포현대2차’ 1112가구로 신통기획 추진

•강남 3구 10·15 규제에도 신고가 매매 61% 증가

•동작 ‘사당12구역’ 642가구로 재개발 추진


서초 ‘서리풀지구’ 2026년 1월 지구 지정 목표로 추진

•성북 ‘장위13구역’ 10년 만에 재개발사업 재추진

•영등포 여의도 ‘제2세종문화회관’ 설계안 확정


•영등포 ‘여의도 목화’ 428가구로 신통기획 추진

•용산 ‘유엔사부지~이촌’ 일대, 신부촌 주거벨트로 부상

•과천·분당 토지거래허가구역 거래량 3185건→17건 급감


•구리 무주택 신혼부부 주거 안정 대출이자 지원(신청: ~11월 21일)

•화성 ‘동탄트램’ 2026년 상반기 착공, 우선 시공분 추진

•인천 전세사기 피해 지원 미신청자 1355명 전수 상담



〈지방〉

•부산 동부산권 등 선호 지역 신고가, 서부산은 청약 미달

•대구 아파트값 101주 연속 하락, 수성구만 상승세

•전주 아파트값 상승률, 석 달간 서울 강북 앞질러


•대전 ‘대전교도소’ 이전 부지, 미니 신도시 조성 추진

•평택 ‘평택역복합문화광장’ 2026년 9월 완공 목표

•군위 대구시에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요구



〈해외〉

•미국 뉴욕 첫 무슬림 사회주의자 시장 맘다니 당선으로 임대료 동결, 공공주택 확대 정책 예고

•미국 9월 주택 가격 전년 대비 1.2% 상승, 2년 내 최저 증가율, 매물은 6년 만에 최대

•미국 주요 도시별 상위 5% 주택 중간가 126만 달러(약 18억3600만 원), 전년 대비 4.8%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


•미국 시카고 북부 위네트카 <나 홀로 집에> 촬영지로 유명한 부촌, 도심 탈출 수요로 고급 주택 거래 활발

•미국 플로리다 중국인 부동산 매입 금지법 합헌 판결로 타 주 유사 입법 확산 가능성

•영국 10월 집값 주담대 승인 증가 수요 회복에 올 들어 최고치인 0.6% 상승 


•스위스 알프스 고급 주택 5년 새 23% 상승, 안데르마트·다보스 등 연중 거주 수요 늘어난 영향 

•일본 도쿄 23구 10월 오피스 공실률 1.68%, 신규 임차 증가로 전월 대비 0.17%p 하락

•일본 도쿄 긴자·신주쿠·시부야 등 9개 상권 소형 상가 임대료 상승, 음식점 가능 점포 평당 2만8418엔(약 26만 원)으로 2018년 이후 최고치



ree
ree
ree
ree


2026년 1월 주담대, 왜 벌써 신청할까?

아직 새해도 안 왔는데, 대출 창구는 이미 열렸습니다. 작년엔 앱이 마비될 정도로 몰렸지만, 올해는 조금 다릅니다.



Q 1월 주담대를 왜 지금 신청할까?

A 주담대는 실행일 60일 전부터 신청할 수 있어섭니다. 내년 1월 잔금 예정자뿐 아니라, 금리 조건을 바꿔 갈아타려는 차주, 분양 아파트 입주를 앞둔 사람들도 지금 움직입니다. 대부분 10·15 대책 전에 계약한 차주들이죠. 



Q 어떤 이점이 있길래?

A 새해(2026년 1월) 대출을 받으면 은행의 대출 한도가 새로 배정돼 여유가 생깁니다. 실적 경쟁이 붙어 금리나 수수료 혜택이 약간 늘기도 하고요. 다만 규제는 그대로라, 체감 이익은 크지 않을 수 있습니다.



Q 단점이나 주의할 점은?

A 혼합형(5년 고정 후 변동형) 기준 금리는 여전히 연 4% 안팎입니다. 10·15 대책 이후 수도권 한도는 최대 6억 원으로 줄었고, 신청해도 무조건 승인되는 건 아닙니다. 은행마다 조건을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



Q 지난해엔 앱 오픈런도 있었는데?

A 작년엔 일부 은행 앱에서 접수 시작 직후 마감되는 ‘앱 접수 폭주’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현재 기준으로 보면 올해는 대출 규제 강화로 인해 이러한 대기·경쟁 양상이 예년보단 약한 상태입니다.



Q 나도 지금 신청해야 할까?

A 2026년 1~2월 잔금 예정자라면 지금이 적기입니다. 특히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계약했다면, 본계약 후 3개월 이내 입주해야 해서 미룰 여유가 없습니다.



ree

원리금균등상환

매달 갚는 총액이 같은 대출 상환 방식입니다. 3억 원을 30년 빌리면 초반엔 이자 비중이 크고, 시간이 지나면서 원금 비중이 커집니다. 매달 내는 돈이 일정해 계획 세우긴 편하지만, 총이자는 원금균등보다 많습니다. 자금 여력이 부족하거나 초기 비용이 큰 사람이 주로 택합니다.


원금균등상환

매달 갚는 원금이 같은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매달 원금 100만 원씩 갚으면, 남은 원금이 줄수록 이자도 함께 줄어듭니다. 초반엔 상환액이 커 부담되지만, 시간이 갈수록 상환액이 줄어 여유가 생깁니다. 장기 보유나 안정적인 소득이 있다면 이자 부담을 확실히 줄일 수 있습니다.



ree
ree


ree


🌾

좋아하는 가을 포토스폿.

사진 제공 | @hamseul_photo


ree

 
 
 

댓글


더 이상 게시물에 대한 댓글 기능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사이트 소유자에게 문의하세요.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 교보생명빌딩 15층

booding white.png

Copyright © BOODING Corp. All Rights Reserved.

  • 회색 인스 타 그램 아이콘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