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분양가 최대 1억 원 ↑


수도권 아파트

매매지수: 94.8 (▼0.03)

전세지수: 89.8 (■)


지방 아파트

매매지수: 91.8 (▼0.05)

전세지수: 90.9 (▼0.01)

100 이상: 수요 > 공급 (상승 가능성)

100 미만: 공급 > 수요 (하락 가능성)

2월 10일 기준, 자료: 한국부동산원



[ 오늘 부딩 요약 ]

► 올해 첫 3기 신도시 본청약이 시작됐습니다.

► 사전 청약 때보다 분양가는 최대 1억 원 올랐습니다.

► 결과에 따라 다음 청약판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분양가 최대 1억 원 ↑

올해 첫 3기 신도시 본청약이 시작됐지만, 예상보다 오른 분양가에 실수요자 고민이 큽니다. 오늘 부딩은 ‘3기 신도시 시험대: 분양가 최대 1억 원 ↑’에 대해 다룹니다.




3기 신도시 본청약 시작 

올해 첫 3기 신도시 본청약이 고양 창릉에서 시작됐습니다. A4·S5·S6블록 총 1792가구가 나옵니다. 단, 2021년 사전 청약 물량을 빼면 일반분양은 391가구뿐입니다. 서울과 가깝고 GTX-A노선 창릉역 개통 기대감으로 관심이 높지만, 분양가가 예상보다 크게 올라 부담도 커졌습니다. 이번 본청약 결과는 후속 3기 신도시 청약 분위기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 청약 일정

•2월 17일, 18일: 사전 청약 당첨자 청약

•2월 19일: 특별공급 청약

•2월 20일, 21일: 일반분양 청약




분양가 최대 1억 원 ↑ 

이번 본청약의 핵심은 분양가 인상입니다. 예컨대 S5블록(84㎡) 최고 분양가는 7억7000만 원대로, 사전 청약 때보다 약 1억 원 올랐습니다.

▸ 블록별 주요 분양가 상승폭

•A4블록(55㎡) +8086만 원 → 5억5375만 원

•S5블록(84㎡) +9989만 원 → 7억7289만 원

•S6블록(74㎡) +9071만 원 → 7억1149만 원

하지만 인근 단지의 동일 면적 최근 실거래가와 비교하면 여전히 경쟁력이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 인근 단지와 가격 비교

•원흥호반베르디움더퍼스트(2017년식) 7억8000만 원

•삼송아이파크2차(2015년식) 8억5500만 원

[ ☑️ Check! ] 작년 인천 계양 A3블록 본청약에선 236가구 중 106가구(45%)가 포기했습니다. 사전 청약 대비 분양가가 최대 6000만 원(18%) 올라섭니다.




흥행 따라 달라지는 내 선택은?

이번 청약 결과는 후속 3기 신도시 분양가와 경쟁률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큽니다. 실수요자라면 이렇게 대비하는 게 좋습니다.

▸ 흥행 성공 시

후속 분양도 경쟁 치열 예상 → 후속 3기 신도시도 청약 경쟁률 상승 가능성!

가점 낮다면 특별공급 집중 → 신혼부부 특별공급 물량, 전체의 약 30% 수준. 경쟁률 높아 사전 준비 필수!

자금계획 필수 84㎡ 분양가 7억7000만 원대. 계약금(10%)만 7700만 원! 중도금대출 한도 따져보고 미리 자금 계획 세우기!


▸ 흥행 실패 시

•잔여 물량 다시 풀릴까? → 본청약 포기 물량이 나오면 일반공급으로 전환, 추가 신청 기회 있을 수도!

•다른 3기 신도시랑 비교해보기 → 분양가 부담된다면 하남 교산·부천 대장 후속 청약 기다려볼 만!

•기존 아파트랑 가격 따져보기 → 구축 시세 vs 분양가 비교하고 청약이 나을지 판단!






미반환 = 즉시 OUT

앞으로 외국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으면, 해당 전셋집을 일반 임대인보다 빠르게 강제경매¹⁾에 넘깁니다(출처: HUG). 전엔 보증금을 세 번 이상 떼먹거나, 2억 원 이상 밀리거나, 연락이 끊겨야 경매 대상이 됐습니다. 외국인이 본국으로 돌아가면 보증금을 받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¹⁾ 강제경매: 채무자(돈을 빌린 이)가 약속한 날짜까지 돈을 갚지 않으면, 채권자(돈을 빌려준 이)가 법원을 통해 강제로 채무자의 부동산을 경매에 넘기는 절차입니다.



30대가 매수 1위

지난해에 아파트를 가장 많이 산 건 30대였습니다(출처: 한국부동산원). 전체 49만2052가구 중 13만973가구(26.6%)를 매입해 2년 연속 1위입니다. 서울에서도 30대(31.9%)가 가장 많이 샀습니다. ‘마용성’은 30대(36.6%), ‘강남 3구’는 40대(40.3%)가 많았습니다. 신생아특례대출 등으로 올해도 30대의 매수세가 강할 전망입니다.



아파트 경매 41.8% 증가

지난해에 경매로 넘어간 부동산은 13만9847건입니다(출처: 법원등기정보광장). 1년 새 32.4% 늘었고, 아파트·오피스텔 경매도 41.8% 증가했습니다. 저금리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5년 고정금리로 집을 산 일부 영끌족이 지난해에 금리 변동기를 맞으며 이자 부담이 커진 영향이란 분석입니다. 올해도 50조 원 넘는 주담대가 변동금리로 전환됩니다.



오피스텔 월세 1년째 상승

서울 오피스텔 월세가 지난 1년 내내 올랐습니다(출처: 한국부동산원). 수익률도 상승했습니다. 지난해 12월 기준 서울 오피스텔 임대수익률은 4.9%로, 2020년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① 전세 사기로 인한 월세 선호 현상 ② 전세대출 규제 강화 ③ 오피스텔 공급 위축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서울 매물 9만 건대 유지

서울 아파트 매물이 9만 건을 넘기며 쌓이고 있습니다(출처: 아실). 거래는 막혔고, 팔리지 않은 집은 늘어만 갑니다. 지난해 12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3656건, 5년 평균보다 33.1% 줄었습니다. 대출 규제와 정국 불안으로 시장이 얼어붙으며 이사도, 갈아타기도 쉽지 않습니다.




〈수도권〉

•서울 아파트값 2주째 상승

•서울 2024년 오피스빌딩 거래 7조8000억 원, 10년 만에 최대

•서울 2024년 4분기 아파트 임대차계약 44% 월세


•서울 석관동, 원효로4가에 모아타운 3490가구 공급 계획

•서울 명성 잃은 DDP 일대 정비구역 지정 용역 수립

•강북 미아역 인근 노후 주거지 신통기획 통해 7500가구로 건립 추진


•도봉 ‘찾아가는 전월세 안심계약 상담소’ 운영

•송파 토지거래허가구역 일부 해제에 환영

•영등포 ‘시범’ 65층 2473가구로 재건축 추진


•여주 남한강 조망 가능한 출렁다리, ‘여주남한강출렁다리’로 명명

•파주 운정신도시에 공공지원민간임대 1222가구 공급 추진

•화성 동탄역 인근에 복합 컨벤션센터 건립 추진



〈지방〉

•부산 북항 재개발지에 해양 기관 클러스터 조성

•대구 아파트값 64주째 하락

•세종 ‘도시상징광장’ 2단계 구간 시민 개방


•청주 26개 지구에서 도시개발사업 활발

•청주 에어로폴리스 기업 유치 난항

•정읍 저소득층과 소외계층 노후 주택 개선에 3억5000만 원 투입



〈해외〉

•미국 30년 만기 고정형 주담대 평균 금리 6.87%, 4주 연속 하락

•미국 기후변화로 보험 취소 증가, 일부 지역에선 주담대 어려울 전망

•미국 2024년 4분기 집값 상승률 TOP 3_1위 미시시피주 잭슨(28.7%), 2위 일리노이주 피오리아(19.6%), 3위 테네시·조지아주 채터누가(18.2%)


•미국 2025년 임대주택 공급 증가, 임차인 우위 시장 조성

•미국 1월 주택 매매거래 호가보다 평균 1.8% 낮은 가격에 진행되며 2년 만에 최대 할인율

•캐나다 1월 주택 평균 임대료 2100캐나다달러(약 210만 원), 18개월 만에 최저치


•영국 5명 중 1명, 집 사진 없이 글과 평면도만으로 반할 수 있다고 응답

•영국 집을 구매하려는 싱글에게 가장 저렴한 지역 1위 스코틀랜드 애버딘

•독일 2024년 상업용 부동산 가격 평균 25.4% 하락, 4년 연속 내림세






오피스텔 월세, 왜 이렇게 오를까?

서울 오피스텔 월세가 1년 내내 올랐습니다(출처: 한국부동산원). 빌라 전세 사기 이후 월세 찾는 사람이 늘었고, 전세대출 규제와 공급 부족까지 겹쳤습니다. 월세 상승은 일시적이 아니라, 여러 요인이 쌓이며 만들어진 결과입니다. 투자자는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 실거주자는 더 높은 월세를 감당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지난 1년간 부딩이 다룬 기사에서도 이 변화를 볼 수 있습니다.



2024년 1월 16일 | 전국 오피스텔 공급, 17년 만에 최저

→ “서울은 868실로 4분의 1 수준까지 감소.”


2024년 3월 22일 | 서울 오피스텔 평균 월세 89만1000원

→ “빌라 전세를 꺼리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오피스텔 월세 수요도 증가.”


2024년 8월 27일 | 서울 오피스텔 22개월 만에 하락세 멈춰

→ “오피스텔 매맷값 하락세가 22개월 만에 멈춤.”


2024년 12월 3일 | 오피스텔 평균 보증금 2억4713만 원

→ “월세 보증금도 급등.”


2025년 2월 17일 | 서울 오피스텔 수익률 4.9%

→ “서울 오피스텔 월세가 지난 1년 내내 올랐다.”


지적도

‘땅의 신분증’이라 불리는 지도입니다. 대지, 논, 밭 같은 땅의 경계를 한눈에 보여줍니다. 내 땅이 어디까지인지 확인할 때 꼭 필요하고, 도로에 접했는지, 경계가 정확한지도 알 수 있죠. 다만 오래된 지역은 실제 경계랑 다를 수도 있어서 현장 조사와 등기부등본을 함께 확인하는 게 안전합니다.


임야도

‘산의 지적도’라고 보면 됩니다. 임야(산지)의 경계를 표시한 지도인데, 정확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 경계랑 다를 수도 있고, 위치도 애매하게 표시된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시골 땅을 살 땐 임야도만 믿지 말고, 등기부등본과 비교하거나 GPS로 직접 확인하는 게 좋습니다.





퇴근 사랑

퇴근 후,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차려 먹는 저녁의 행복.

사진 제공 | @abracos.donggyu




 
 

Commentaires


Les commentaires ont été désactivés.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 교보생명빌딩 15층

booding white.png

Copyright © BOODING Corp. All Rights Reserved.

  • 회색 인스 타 그램 아이콘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