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우리도 불타오르네

  • 작성자 사진: BOODING
    BOODING
  • 2021년 6월 25일
  • 3분 분량

우리도 불타오르네

세계 주요국이 저마다 같은 이유로 괴로워합니다. 바로 집값 폭등 때문입니다. 이 문제로 고통받는 게 한국만은 아닌 셈입니다. 해결책으론 금리인상 카드가 거론됩니다. 물론 이 카드의 효과가 있을지 모르겠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오늘 부딩은 ‘코로나19 시대의 부동산: 우리도 불타오르네’에 대해 다룹니다.



우리도 불타오르네

세계 집값이 다 함께 급등한다는 기사가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습니다. 미국, 캐나다, 호주, 스웨덴, 영국, 프랑스 할 것 없이 만국 공통입니다. 수요는 많은데 신규 공급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수급 불균형이 그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참고로 한국(5.8%)은 지난 1년 아시아에서 싱가포르(6.1%) 다음가는 집값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집값 폭등으로 시름하는 각국의 사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 미국: “우리? 최근 1년 만에 집값이 23.6%나 올랐음. 이렇게 오른 건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처음이라고. 주택 중위가격*이 35만3000달러(약 3억9000만 원)를 기록한 것도 처음이야.”


  • 캐나다: “밀레니얼과 저금리가 주택 수요 상승을 부채질하고 있음. 수도 오타와의 올 초 평균 집값은 67만7000캐나다달러(약 6억2000만 원)였으니 1년 전 대비 31%나 오른 거지.”


  • 호주: “집값 폭등으로 청년들이 결혼하지 않는 건 오래된 문제임. 땅덩어리가 한국의 30배 이상인데도 집값이 너무 올라 경제구조적으로도 많은 부작용을 일으키고 있다고.”


  • 스웨덴: “스톡홀롬에선 1930년대에 지은 집을 140만 유로(약 19억8000만 원)나 주고 사야 함. 지난 1년간 스웨덴 집값은 평균 19%나 상승했다니까.”


*주택이나 아파트를 가격 순으로 나열했을 때 중앙에 위치하는 가격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5억, 7억, 9억, 14억, 18억, 22억, 35억 원짜리 주택의 중위가격은 14억 원이죠. 평균가격은 약 15억7000만 원입니다.



원인은 ‘그것’

집값 폭등의 원인으로 꼽히는 건 수급 불균형이지만, 그 시발점은 코로나19라는 분석입니다. 밖에서 돈을 쓸 수 없으니 사람들의 관심이 주거 공간의 업그레이드로 옮아갔다는 것. 이는 사실 우리 부동산시장이 겪고 있는 문제이기도 합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높아진 대형 평형 아파트 선호도와 가구·인테리어업체의 사상 최대 실적이 그 증거입니다.


이렇게 집값이 다 같이 오른 적이 또 있었나…

있었습니다. 금융위기 전인 2006년입니다. 당시 영국 시사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1997~2006년 10년간 주요국의 집값 상승세가 놀랄 노 자였다고 보도했습니다. 아일랜드의 집값은 252%나 뛰었고, 영국(192%)·스페인(173%)·호주(132%)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한국도 뒤지지 않았습니다. 2006년 말 서울 아파트값은 1년 전보다 31.1%나 올랐습니다. 당시에도 수급 불균형 문제가 제기됐습니다.

세계 집값 더 오름? 빠짐?

집값이 더 오를지 여부에 대해선 전망이 엇갈립니다. 미국이 인플레이션*에 대응해 금리**를 올리면 세계 집값이 도미노처럼 하락할 거란 주장도 있지만, 어느 나라든 요샌 대출 기준이 높다는 점에서 금리인상에 따른 ‘거품 붕괴’는 기우라는 시각도 있어서입니다. 이에 각국에선 급한 불 끄기가 한창인데, 스웨덴의 경우 코로나19 확산 이후 중단한 주택담보대출 정기 상환을 곧 재개하고, 영국에선 한시적으로 시행한 주택 구입 시 세제 혜택을 폐지합니다. *물건이나 서비스의 가격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승하는 걸 말합니다. 즉 돈의 가치가 시간이 지날수록 하락한다는 이야기. **금리가 오르면 이자 상환 등 부담이 늘어 부동산 매물이 증가하고 반면 수요는 줄어든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누구나 보증해줌

여당은 초기 주택 구입비를 확 낮추는 ‘누구나 집*’ 프로젝트 2탄으로 ‘누구나 보증’을 내놓습니다. 이는 세입자가 월세를 전세로 바꾸고 싶을 때 보증 기관이 연 2.7% 금리 수준의 전세대출을 해줘 주거 비용을 절반 가까이 낮추는 제도입니다. 여당은 160만 가구에 달하는 공공임대주택 중 주거비를 받지 않는 80만 가구에 먼저 이를 적용한 후 점차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여당이 제안해 곧 시장에 내놓을 주택 유형으로 분양가의 6~16%만 내고 입주, 의무 거주 기간인 10년을 채운 뒤 최초 분양가로 내 집 마련을 하는 방식입니다.


하남시가 경기도 1위

경기도에서 지난 1년 동안 전셋값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하남시로 나타났습니다. 하남시는 지난해 5월부터 올 5월까지 3.3㎡(약 1평)당 아파트 전셋값이 1245만 원에서 1865만 원으로 1년 만에 49.8%나 올라 경기도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하남시 전셋값이 이렇게 오른 데엔 최근 서울지하철 5호선 하남선 구간이 개통한 영향이 크다고 합니다.


경부고속도로 지하화 곧 결정

정부가 이달 안에 23조 원이 들어가는 경부고속도로 지하화(강남~동탄) 사업을 할지 말지 결정하는 가운데 지상 도로 부지에 집이나 공원 등을 짓자는 등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다만 큰돈이 들어가는 사업인 만큼 이것이 서울 강남권 집값을 자극하는 촉매제가 될 거란 주장도 나옵니다. 참고로 그간 경부고속도로 지하화 방안은 여러 차례 검토했지만 실현된 적은 없습니다.


점등식

새 아파트 입주 전 최대 전기부하를 점검하는 야간 행사입니다. 모든 호실에 불을 밝혀 이를 사진으로 남겨두려는 이도 많죠. 다만 점등식 날짜는 입주 예정 주민에게만 공개하는 경우가 많대요.

사전점검

새 아파트 입주 전 미리 방문해 둘러보고, 하자가 있는 경우 시공사에 보수를 요구하는 과정입니다. 보통은 입주 한 달 전쯤 3일간 진행합니다. 올해 1월 24일부터는 입주 예정자가 사전점검 때 발견한 하자에 대해서 사업주체는 입주 전까지 의무적으로 보수 조치를 마쳐야 합니다.



녹음

이 계절 뒷 마당에 다시 놀러 온 녹음.


사진 제공. @reflektorrrrrr

일상에서 발견한 주거의 멋진 순간을 @booding.co를 태그해 인스타그램에 올려주세요. 혼자 간직하기 아까운 사진을 부딩 구독자와 공유합니다.



 
 
 

Comentarios


Ya no es posible comentar esta entrada. Contacta al propietario del sitio para obtener más información.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 교보생명빌딩 15층

booding white.png

Copyright © BOODING Corp. All Rights Reserved.

  • 회색 인스 타 그램 아이콘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