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울에서 소형 아파트 수요는 늘었지만
[2] 공급은 급격히 줄고 있습니다.
[3] 올해 수도권 공급량 중 ‘소형’은 5% 미만입니다.
희귀템 되어가는 소형 면적
서울에서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 아파트를 찾는 수요는 늘었지만 공급이 그걸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오늘 부딩은 ‘전용면적 60㎡ 이하의 인기: 희귀템 되어가는 소형 면적’에 대해 다룹니다.
소형 거래 비중 21%→32%
올 5월 서울에서 전용면적(전용) 41~60㎡(약 18~25평) 소형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2231건을 기록했습니다(출처: 한국부동산원). 같은 기간 전체 매매거래량의 약 32% 수준입니다. 작년 5월 이 비중은 약 21%(1만2001건 중 2574건)였습니다. △분양가가 전용 84㎡(약 32평)보다 낮은 데다 △큰 집이 필요 없는 1·2인가구가 늘고 있으며 △같은 금액이면 면적을 키우기보다 입지가 좋은 단지로 갈아타려는 수요가 증가한 데 따른 결과란 분석입니다.
check! 소형 아파트는 중소형보다 1㎡(약 0.3평)당 분양가도 낮았습니다. 올 6월 서울 전용 60㎡ 이하 아파트의 1㎡당 분양가는 약 1185만 원으로, 60㎡ 초과~85㎡(약 32평) 이하 아파트의 1㎡당 분양가 약 1252만 원보다 저렴했습니다(출처: HUG ‘민간아파트 분양 가격 동향’).
6억 원 미만 거래 역대 최저
소형 면적을 찾는 이는 늘어난 반면, 중저가 매물은 오히려 자취를 감추고 있습니다. 실제로 올 상반기 서울 전용 60㎡ 이하 매매거래량 중 6억 원 미만 거래는 약 34%(1만1279건 중 3837건)로 2011년 이후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출처: 국토교통부). △서울 평균 아파트값이 높아진 데다 △서울 평균 아파트 전셋값마저 6억 원을 웃돌며(7월 기준 6억1027만 원, 출처: KB부동산), 전세로 살기보다는 비슷한 가격대의 소형 아파트를 매입하는 이가 늘었기 때문이란 평입니다.
check! 그럼에도 6억 원 미만 매물이 남아 있는 서울 지역요? 올 상반기 전용 60㎡ 이하 거래 비중이 높은 곳은 △도봉(87.3%) △노원(79.2%) △강북(76.8%) △중랑(74.7%) △금천(63.1%) △구로(62.4%) 등 순이었습니다(출처: KB부동산).
희귀템 되어가는 소형 면적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올해 예정된 수도권 전체 공급량 중 전용 60㎡ 이하 소형 면적은 5%도 되지 않습니다(출처: 부동산R114). 이에 미래 수요를 고려해 소형 면적 공급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이제껏 소형 면적 수요층엔 사회 초년생과 신혼부부가 많았지만 △앞으론 고령화의 영향으로 수요층이 60대 이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는 겁니다.
check! 소형 면적은 우리만 선호하느냐고요? 일본도 우리와 사정이 비슷합니다. 2021년 일본 신축 맨션(우리식 아파트)의 평균 면적은 64.7㎡로 10년 전보다 약 10% 줄었는데, 이는 △평균 가구원 수가 줄고 △건축비(분양가)가 오른 영향이란 분석입니다(출처: 닛케이신문). 특히 일본은 주택 면적은 타협하더라도, 교통 편의성이 높은 지역에 거주하려는 수요가 줄지 않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임차인 47%는 갱신권 사용
임대차 2법(계약갱신청구권제¹⁾, 전월세상한제²⁾) 시행 이후 서울 아파트 전월세 재계약의 47%는 계약갱신청구권(갱신권)을 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출처: 이연희 의원실). 단, 이 비중은 2021년 7월 69.3%까지 올랐다가 올 2월 27.2%로 떨어졌습니다. △2년 전 대비 전셋값이 하락하고 △갱신권을 이미 쓴 임차인도 많았기 때문이란 분석입니다.
¹⁾ 계약갱신청구권제: 임차인이 계약을 1회 더 연장하는 청구권을 사용해 2+2년 거주가 가능한 제도입니다.
²⁾ 전월세상한제: 임대인이 기존 임대차계약에서 전세나 월세 가격을 5% 이상 올리지 못하게 하는 제도입니다.
서울 전세 매물 23.6% 감소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14개월(63주)째 오르는(출처: 한국부동산원) 가운데 전세 매물도 귀해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8월 5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은 2만6124건으로 6개월 전보다 23.6% 줄었습니다(출처: 아실). 빌라 전세 사기 여파로 아파트 전세 수요는 계속 늘고 있습니다.
놀이터와 20m 이상 떨어지면 가능?
전기차 화재로 불안이 커지며 정부의 ‘공동주택 전기자동차 화재 대응 매뉴얼(전기차 충전 구역 지정 시 고려 사항)’에 관한 문제 제기가 나옵니다. △주변에 나무가 없어야 하고 △놀이터와 20m 이상 떨어져야 한다(출처: 국토교통부 등) 등 대부분 뻔한 이야기거나 현실성이 없어섭니다.
원정 투자 3년 6개월 만에 최대
서울 아파트값 급등세에 외지인의 원정 투자도 늘었습니다. 올 6월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 총 6150건(신고일 기준) 중 외지인이 매수한 사례는 1396건으로 2020년 12월(1831건) 이후 가장 많았습니다. 6월 기준 외지인의 매수 비율은 △광진(51.2%) △영등포(32.3%) △용산(27.6%) 등 순으로 많았습니다(출처: 한국부동산원).
대출금리 상승, 예적금 금리 하락
은행이 대출금리를 올린 반면, 예적금 금리는 내리며 불만이 쌓이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정책에 따라 주담대 등 금리는 올렸지만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에 예적금 금리의 기준이 되는 국내외 채권 금리는 낮아진 영향입니다.
#16 여름의 맛
절정의 더위가 지속되고 있다. 뜨거운 열기와 습한 공기는 마치 힘겹게 겨루어야 하는 만만치 않은 상대처럼 느껴진다. 매년 기록을 경신하는 낮 최고기온과 열대야가 이어지는 나날 속에 할 수 있는 일이라곤 하루하루를 버텨내는 것뿐. 이럴 때 달콤하고 차가운 여름의 맛으로 입안을 달랠 수 있다면? 한낮을 잠식한 더위를 잊게 해줄 서촌 ‘여름의 맛’을 소개한다.
헤르만의 정원의 ‘밀크티빙수’
밀크티로 유명한 티하우스 헤르만의 정원에서는 매해 여름 밀크티빙수를 선보인다. 진한 우바를 우려 만든 달달한 베이스를 원료로 한 눈꽃빙수로 밀크티를 새로운 식감으로 즐길 수 있다. 팥이 아닌 오렌지 마말레이드를 올려 담백하고 청량한 맛이 일품이고, 컬러 또한 아름답다. 우아한 티타임의 여름 버전이라 할 만하다.
나흐바 커피하우스의 ‘오트말차라떼’
필운대로에 위치한 작은 카페로 커피도 탁월하지만, 말차라떼 역시 시그너처 메뉴다. 우유 대신 오트를 사용해 고소하고 가벼운 맛이 배가되며 적당한 당도도 절묘하다. 아이스로만 제공하는 말차라떼는 여름뿐 아니라 동절기에도 찾는 마니아가 많을 정도. 여기에 나흐바만의 시나몬롤을 하나 곁들이면 사라진 입맛도 되돌아올 듯하다.
스쿠퍼의 ‘젤라또’
서촌 초입에 초록 간판을 걸고 자리를 지켜온 스쿠퍼의 젤라또는 그 자체로 사랑이다. 컵이든 콘이든 두 가지 맛을 골라 입안에 머금으면 더위는 물론 근심도 사라지는 듯한 기분이 든다. 계절마다 선보이는 맛도 다양한데, 참외소르벳또와 수박소르벳또는 꼭 맛봐야 할 메뉴. 스쿠퍼에 앉아 스푼을 입에 물고 있는 모든 사람의 표정이 명랑하다.
토지보상금
개인 소유 땅이 공익사업(도로 건설, 택지개발 등)을 목적으로 수용될 때 그 대가로 받는 현금이나 채권 등을 말합니다. 이 돈이 얼마나 되느냐고요? 전국적으로 1년에 약 10조 원에 이릅니다. ‘돈벼락’ 맞은 시골 땅부자 얘기, 다들 한 번은 들어보셨죠?
대토보상권
공익사업 때문에 수용되는 땅 소유자가 현금이 아닌 ‘땅’으로 보상받을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돈으로 받지 않는 이유요? 토지가 수용된 원주민의 지역 내 재정착을 돕기 위해서입니다. 또 막대한 토지보상금이 부동산시장으로 들어가는 걸 막고자 하는 이유도 있습니다.
구름 하루
구름만 바라보다 끝난 하루.
사진 제공. @yeoyu_roi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