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 아파트
매매지수: 94.8 (▲0.02)
전세지수: 89.8 (▲0.02)
지방 아파트
매매지수: 91.7 (▼0.04)
전세지수: 90.9 (■)
100 이상: 수요 > 공급 (상승 가능성)
100 미만: 공급 > 수요 (하락 가능성)
3월 3일 기준, 자료: 한국부동산원
[ 오늘 부딩 요약 ]
► ‘한 달 1만 원’ 초저가 임대주택이 인기입니다.
► 지방에서 시작해 서울까지 확산됐습니다.
► 주거비는 줄지만, 지속 가능성 논란도 큽니다.

한 달 1만 원으로, 6년간 거주
한 달에 1만 원으로 집을 얻는다? 초저가 임대주택이 퍼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속 가능할까요? 오늘 부딩은 ‘초저가 임대주택: 한 달 1만 원으로, 6년간 거주’에 대해 다룹니다.
한 달 1만 원으로, 6년간 거주
신혼부부는 월 1만 원, 청년은 하루 1000원. 지방에서 시작한 초저가 임대주택이 이제 수도권까지 번졌습니다. 인천은 올해 ‘천원주택’ 500호, 전남은 2035년까지 ‘만원주택’ 1000호를 공급합니다. 서울 동작구도 신혼부부 대상 ‘만원주택’ 7호를 내놨는데, 경쟁률이 14 대 1입니다. 이 정책은 2023년 전남 화순군에서 시작해 전남 강진·무안, 강원 태백, 충남 청양을 거쳐 최근엔 서울까지 확산됐습니다.
▸ 천원주택·만원주택, 어떻게 퍼졌을까?
• 시작: 전남 화순(2023년)
→ 지방 소멸 위기 대응 위해 ‘만원주택’ 도입
• 확산: 전남·충남·경북 등 농촌 지역
→ 지방 청년 유입 + 신혼부부 정착 지원 목적
• 수도권 도입: 인천·서울(2024년~)
→ 청년 주거난 해소, 신혼부부 지원 명목으로 확대
만원주택, 실제 입주 조건은?
현재 모집 중이거나 공급한 주요 초저가 임대주택을 살핍니다.
🏡인천시 ‘천원주택’ / 🔥 2025년 3월 14일 신청 마감
공급: 500호
대상: 인천 거주 무주택 신혼부부(결혼 7년 이내, 한부모, 예비 신혼부부 포함)
소득 기준: 월 758만1997원 이하(2인가구 기준)
보증금 / 임대료: 보증금 없음 / 월 3만 원(하루 1000원)
거주 / 신청: 최대 6년(2년 단위 갱신) / 인천시청 방문 접수
🏡동작구 ‘신혼부부 만원주택’ / 🔥 최근 경쟁률 14 대 1 기록
공급: 7호
대상: 서울 동작구 거주 19~39세 무주택 신혼부부(예비 신혼부부 포함)
소득 기준: 월 441만9131원 이하(2인가구 기준)
보증금 / 임대료: 전세보증금의 5% / 월 1만 원
거주: 최대 4년(2년 단위 갱신)
🏡전주시 ‘청춘별채’ / 🔥 2025년 3월 14일 신청 마감
공급: 23호
대상: 전주 거주 19~39세 무주택 청년(대학생, 취업준비생 포함)
소득 기준: 1순위(수급자), 2순위(월 417만9557원 이하(1인가구 기준))
보증금 / 임대료: 50만 원 / 월 1만 원
거주 / 신청: 최대 20년(입주 후 혼인한 경우) / jeonju.go.kr
주거비 절감 vs 포퓰리즘
초저가 임대주택, 기회일까요 부담일까요? 그 혜택과 한계를 짚어봅니다.
▸ 효과는?
•월세 부담 90% 이상 절감
→ 수도권 평균 원룸 월세 60만 원 → 초저가 임대주택 월 1만 원(연 700여만 원 절약)
•청년·신혼부부 자산 형성에 도움
→ 낮은 임대료 덕에 저축할 수 있는 여력이 증가
•지방 인구 유입 효과
→ 전남 화순군 ‘만원주택’ 입주자 124명(90호)은 타 지역에서 전입
▸ 논란은?
• “소수만 혜택 + 세금 부담”
→ 동작구 ‘만원주택’ 7호 공급에 18억8650만 원 투입, 경쟁률 14 대 1(입주 가능성 7%)
• “정책 지속 가능성”
→ 예산 지속적 확보 필요, 추가 공급 계획은 미정
• “포퓰리즘 논란”
→ “단기적 인기 정책에 집중, 근본적 주거 대책은 미흡” 지적

집 살 땐, 주담대 먼저
집을 살 땐 신용대출보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을 먼저 받는 게 유리하다는 조언이 나왔습니다(출처: 한국경제신문). 보통 주담대와 신용대출을 함께 받는데, 만기가 짧은 신용대출을 먼저 받으면 DSR¹⁾ 한도가 확 줄어든다는 겁니다. 또 마이너스통장은 실제 사용액과 무관하게 한도 전체가 부채로 잡혀, 불필요한 한도를 설정하면 대출자에게 불리합니다.
¹⁾ DSR: 1년간 갚아야 하는 모든 대출의 원리금(원금 + 이자) 합계가 내 연 소득 대비 얼마나 되는지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DSR이 40~50%라면, 연 소득의 40~50%를 초과하는 대출 원리금을 부담할 수 없습니다.
23년 저축해야 당첨
올해 첫 3기 신도시 공공분양¹⁾인 고양 창릉(A4·S5·S6) 청약 당첨자가 발표됐습니다. 가장 선호도가 높은 S5블록 84㎡ 일반공급 당첨 하한선은 청약 납입액 평균 2876만 원(출처: 한국부동산원). 매달 최대 10만 원씩 23년 넘게 넣어야 가능한 금액입니다. 공공분양은 납입 횟수, 민간분양은 납입 총액이 당첨에 영향을 줍니다.
¹⁾ 공공분양: LH 등 공공기관이 분양하는 전용면적 85㎡(약 32평) 이하의 주택을 말합니다.
미분양 11만 가구설
전국 미분양¹⁾ 물량이 2개월 연속 7만 가구를 넘겼지만, 실제론 11만 가구에 이를 수 있단 주장이 나왔습니다. 건설사에 신고 의무가 없어 정부 통계와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겁니다. 미분양 통계는 주택 수요자의 매매 판단에 영향을 미치기에, 신고를 의무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¹⁾미분양: 분양했지만 팔리지 않은 집입니다. ‘일반 미분양’은 분양 후 남은 재고, ‘준공 후 미분양’은 입주 시점까지 팔리지 않아 장기간 쌓인 악성 재고를 뜻합니다.
10명 중 6명은 월세
지난 2월 확정일자를 받은 전국 28만4454개 주거시설 중 월세 계약은 17만9656건(63.2%)이었습니다(출처: 국토교통부).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래 월별 기준 역대 최고치. 월세 비율은 작년 10월 56.8% → 11월 58.3% → 12월 60.6%로 계속 늘고 있습니다. 이제 임차인 10명 중 6명이 월세를 냅니다.
55%는 상승 거래
지난 1~2월에 계약해 3월 7일까지 신고한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 중 55%는 작년 11~12월보다 비싸게 거래됐습니다(출처: 부동산R114). 상승 거래 비중이 높은 지역은 ▲서초(71%) ▲관악(69%) ▲광진(68%) ▲마포(65%) ▲중(64%) 순이었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¹⁾ 해제 이후 신고가 거래가 급증하며 상승 거래 비중은 더 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¹⁾ 토지거래허가구역: 일정 규모 이상의 주택·토지를 거래할 때 지자체 허가가 필요한 제도로, 실거주 목적만 허가받을 수 있습니다. ‘토지’ 거래허가구역이지만 건물이 대지 지분을 갖고 있어 주택도 허가 대상이며, 이 구역이 해제되면 갭투자가 가능해져 기존에 묶여 있던 지역의 거래가 늘어나는 사례가 발생합니다.

〈수도권〉
•서울 아파트값 5주째 상승
•서울 ‘신혼부부 안심주택’ 방화·신길·원효로동 3곳 공급 추진
•구로 주거취약가정 방역 서비스 연 3회 → 4회 확대
•노원 ‘백사마을’ 3178가구로 재개발 계획
•도봉 정비사업지 주민 이주 시 부동산중개료 20% 감면 사업 시행
•동작 ‘사당5구역’ 용적률 약 250% 적용한 530가구로 재개발 계획
•송파 전국 최초 ‘수직증축’ 성지아파트 준공
•송파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7년 만에 아파트값 최대 상승
•양천 ‘목동14단지’ 정비구역 지정, 5123가구로 재건축 계획
•수도권 1월 아파트 난방비, 작년보다 평균 8% 상승
•남양주 ‘왕숙2지구’ 대형 문예회관 건립 LH에 건의
•평택 5년 만에 미분양관리지역 지정
〈지방〉
•부산 그린벨트 해제 소식에도 아파트값 하락세 지속
•대구 5개 군부대 2030년까지 군위로 이동 추진
•원주 사전 청약 아파트(원주 태장 A2블록) 사업 취소
•진주 LH아파트 균열, 땅 꺼짐 대책 촉구
•경남 부동산 거래 경험 없는 계층 위한 ‘동행중개사무소’ 운영
•제주 올해 매입형 공공임대주택 280호 공급
•합천 ‘호텔사업’ 비위 드러나 검증 강화, 실효성은 의문
•장수 빈집 수리해 주거취약계층, 귀농인에게 최소 4년간 무료 임대 추진
•정읍 이혼, 학대 등 위기 여성 단기 주거 지원(신청: ~2025년 12월)
〈해외〉
•미국 30년 만기 주담대 평균 금리 6.31%, 올해 최저
•미국 뉴욕, 직원 복귀 늘며 블랙스톤 등 오피스빌딩 투자 관심 증가
•미국 밀레니얼, 집값·성장성 고려해 이주하는 도시 1위 내슈빌, 2위 라스베이거스, 3위 샬럿·롤리
•미국 2월 임대료 중간값 1607달러(약 233만 원), 전년 대비 0.4% 상승
•캐나다 토론토 2월 주택 거래 28.5% 감소, 미국 관세 불확실성 영향
•모나코 신규 주택 부족으로 신축 평균 가격 3640만 유로(약 572억 원), 기존 주택의 6배 수준
•호주 4년 만에 기준금리 인하(연 4.1%)로 주택 매수 심리 회복
•일본 새집 입주 후 할 일 1위 실내 사진 촬영(퇴거 대비), 2위 이웃 인사, 3위 대피소 확인
•일본 도쿄 23구 300평 이상 오피스 공실률 2.47%, 전년 대비 0.11p 하락

#3 생활용품 정리: 더 편안한 삶을 누리는 방법
생활용품에는 욕실·세탁·청소용품부터 공구·잡화까지 다양한 물건이 포함됩니다. 일상에서 자주 쓰지만, 어디에 뒀는지 잊어버려 같은 걸 여러 개 사는 경우가 많죠. 이번 칼럼에서는 생활용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왜 생활용품을 정리해야 할까요?
집 안 곳곳에 흩어져 있는 생활용품은 일상에 꼭 필요하지만, 제대로 정리하지 않으면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정리를 잘하면 단순히 집 안이 깔끔해지는 것을 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삶의 질도 향상되죠.
정리 원칙 4: 필요한 순간에 바로 찾을 수 있도록
집을 정리할 때 애매한 물건들이 있습니다. 가위, 휴지, 물티슈, 건전지, 공구, 멀티탭, 여분의 샴푸 같은 것입니다. 자주 쓰지만, 어디에 둬야 할지 고민되는 이런 생활용품은 어떤 원칙으로 정리하면 좋을까요?
1. 사용분과 재고 구분하기
현재 사용 중인 샴푸는 욕실에 두지만, 여분의 샴푸는 다용도실에 보관합니다. 사용분과 재고를 명확히 구분하면, 실제 사용하는 공간과 보관하는 공간 모두 쾌적해집니다.
2. 사용 빈도별 맞춤 수납하기
같은 카테고리의 물건을 한곳에 수납하는 게 원칙이지만, 사용 빈도가 높은 일부는 따로 배치해도 좋습니다. 예를 들어 공구 중 자주 쓰는 드라이버와 줄자는 쉽게 꺼낼 수 있는 곳에 따로 정리합니다.

사용 빈도별로 정리한 세탁용품
3. 총량 제한 적용하기
생활용품은 재고가 쉽게 쌓이므로, 먼저 각 품목별 수납공간을 지정합니다. 이후 해당 공간에 보관할 수 있는 최대 용량을 정해 불필요한 과잉 구매를 방지하고, 정리한 공간이 어지러워지는 것을 막습니다.
4. 공간에 맞는 수납용품 활용하기
공간의 구조와 특성에 맞는 수납용품을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깊은 서랍이나 선반엔 인출식 수납함을 사용하면 물건을 꺼내기 편리합니다. 또한 건전지나 나사처럼 작은 물건은 투명 지퍼백 등에 보관하면 흩어지지 않고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거실 벽장에 수납한 다양한 생활용품
생활용품을 잘 정리해두면 필요한 순간 원하는 것을 바로 찾을 수 있어 일상이 훨씬 편안해집니다. 오늘부터 하나씩 실천해보세요!
▸ 3초 만에 시작하는 액션플랜!
✅ 자주 쓰는 공구 몇 가지를 골라 접근하기 쉬운 곳에 배치해보세요.
✅ 1분 안에 ‘찾기 힘든 물건’을 점검하고 최적의 장소로 옮겨보세요.
✅ 일상적으로 쓰는 생활용품을 ‘사용분’과 ‘재고’로 나누어 정리해보세요.




3월 31일부터 새로운 보증료율 적용!
HUG는 3월 31일부터 새로운 전세보증금반환보증료율(보증료율) 체계를 적용합니다. ① 대규모 전세 사기로 미회수 보증금이 늘며 ② 2년 연속 4조 원대 적자가 이어지자 ③ 그 해결책으로 보증료율 조정을 선택한 겁니다(출처: HUG). 전세보증금 규모와 전세가율에 따라 보증 사고 위험이 크면 보증료율을 최대 30% 올리고, 위험이 낮으면 최대 20% 낮추는 것이 이번 개편의 핵심 포인트입니다.
30% 올리거나, 20% 내리거나
보증료 부담은 집값, 전세보증금, 전세가율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달라집니다.
▸ 보증료율 개편 내용
•기존: 0.115~0.154%
•개편 후: 0.097~0.211%
→ 보증금 규모와 전세가율에 따라 최대 30% 인상, 최대 20% 인하
▸ 전세가율별 보증료율
아파트
•70% 이하: 0.097~0.113%
•70% 초과~80% 이하: 0.117~0.138%
•80% 초과: 0.137~0.164%
비아파트
•70% 이하: 0.111~0.132%
•70% 초과~80% 이하: 0.142~0.172%
•80% 초과: 0.172~0.211%
→ 비아파트는 보증 사고 위험이 높아 같은 조건에서도 보증료율이 더 비쌈
▸ 보증료 예시
•5억 아파트(전세가율 70% 이하): 1년 56만5000원, 2년 113만 원
•5억 빌라(전세가율 70% 이하): 1년 66만 원, 2년 132만 원

자전거래
집값을 올리려고 가짜 계약서를 쓴 후 신고했다가 계약을 취소하는 겁니다. 시장에선 특정 기간 내 시세가 급등(예: 10% 이상)하면, 이걸 의심합니다. 주로 시장이 상승장일 때 나타나며, 실거래가 조작으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전대차
임차인이 임대인 동의 없이 다른 사람에게 집을 다시 빌려주는 걸 말합니다. 계약기간을 못 채울 때 쓰이지만, 임대인 허락 없이 하면 불법입니다. 남의 집으로 에어비앤비를 운영하는 것도 전대차에 해당합니다.



뉴욕, 마음가짐
신기하게, 마음가짐에 따라 달라지는 추위.
사진 제공 | @u_zeeeni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