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집을 많이 지어 집 문제 해결합니다

  • 작성자 사진: BOODING
    BOODING
  • 2022년 3월 10일
  • 4분 분량




집을 많이 지어 집 문제 해결합니다

20대 대통령으로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당선됐습니다. 그의 부동산정책은 집을 많이 짓는 것에 맞춰져 있습니다. 어마어마하게 많은 집을 지어 시장을 안정시킨다는 계획입니다. 특히 민간을 잘 활용해 양질의 집을 짓겠다는 전략입니다. 오늘 부딩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 집을 많이 지어 집 문제 해결합니다’에 대해 다룹니다.


집을 많이 지어 집 문제 해결합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집값 안정화 전략은 수요에 부응하는 주택을 내놓는 겁니다. 앞으로 5년간 총 250만 가구를 공급하는 게 핵심입니다. 이를 위해 시장을 옥죄던 재건축·재개발 규제를 풀겠다는 등 다양한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주요 부동산정책은 아래와 같습니다.


  • 250만 가구 공급: 2026년까지 5년간 전국에 250만 가구를 공급합니다. 그중 수도권 물량이 130만~150만 가구고요. 수도권 물량 중 서울 물량은 약 50만 가구입니다. 잠깐, 수도권엔 더 이상 집 지을 땅이 없다고요? 재건축·재개발 규제를 풀어 부지를 확보한다는 전략입니다. 전체 공급 물량 중 80%(200만 가구)를 민간이 주도하게 하겠다는 점도 눈에 띕니다. 민간 주도를 밀고 있는 만큼 앞으로 브랜드 아파트의 공급이 크게 늘 것으로 보입니다.


  • 청년원가주택: 전체 250만 가구 중 50만 가구는 청년원가주택(30만 가구)*과 역세권첫집(20만 가구)**으로 짓습니다. 특히 청년원가주택은 건설 원가 수준의 낮은 가격으로 분양해 청년의 자산 증식을 돕는 방식. 임대주택 위주인 여타 청년 부동산 공약과 달리 자가주택을 공급해 그들의 내 집 마련을 돕겠다는 계획입니다.

*무주택 청년이 원가 수준의 시세보다 싼 가격에 분양받아 5년 이상 거주하면 국가에 매각해 차익의 70% 이상을 보장받을 수 있는 주택입니다.

**교통이 좋은 역세권에 짓는 공공분양주택을 말합니다. 이를 위해 역세권 재건축아파트의 용적률을 높이는 등 다양한 방법이 거론됩니다.



  • 부동산 세금 경감: 현 정부의 부동산 조세제도를 전면 수정합니다. 2022년 부동산 공시가격*을 2020년 수준으로 돌리고, 종합부동산세**를 재산세***와 합치는 방안도 그중 하나입니다. 또 다주택자가 집을 팔 때 양도세를 중과하는 조치를 2년간 유예하겠다는 공약도 있습니다. 시장에 매물이 나오게 유도해 집값을 잡겠다는 생각입니다.

*정부가 매년 조사, 산정해 알리는 부동산 가격입니다. 이를 토대로 정부는 집을 가진 사람이 내는 세금인 보유세를 부과합니다. 또 건강보험료 등을 부과하는 지표로도 사용하고요.

**과세기준일인 매년 6월 1일, 일정 기준을 초과하는 토지와 주택을 가진 이에게 정부가 누진세를 적용해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집을 한 채만 가지고 있어도 공시가격이 11억 원을 초과하면 내고, 두 채 이상 가졌다면 그 합이 6억 원만 넘어도 내야 합니다. 애초에 상위 1%만 납부하게 하는 걸 목표로 도입했지만 최근 집값 상승으로 과거보다 훨씬 많은 이가 이를 납부하고 있습니다.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주택이나 건물 등을 소유하고 있는 이에게 부과하는 지방세의 한 종류입니다.



내게 득 되는 주거 정책은?

1) 청년원가주택과 역세권첫집 공급 외에 2) 신혼부부와 청년층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80%로 올리겠다는 공약이 단연 눈에 띕니다. 현재 수도권 지역 대부분에 LTV 40%가 적용되는 것과 비교하면 2배 많은 돈을 빌릴 수 있게 되는 겁니다. 3) 군 복무자에게 청약 가점 5점을 주겠다는 공약도 주목해야 합니다. 단, 이는 수혜자가 많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제도 시행 시점에 군필을 마친 이에게 가점을 주기 시작하는 게 아니라, 과거 군필자도 가점을 받을 수 있는 정책이라 그렇습니다.

*집을 담보로 은행에서 대출을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그 비율을 말합니다. LTV가 50%라면 5억 원짜리 집을 담보로 최대 2억5000만 원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다는 뜻.



벌써 들썩이는 시장

그런가 하면 올 들어 서울 일부 재건축 단지는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전국적 ‘거래절벽’ 속에서도 말입니다. 최근엔 서울시의 재건축 35층 룰* 폐지까지 더해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즉 새 정부 출범과 동시에 시작될 재건축 등 규제완화 방침에 벌써 시장이 들썩이는 겁니다. 이 때문인지 전문가들은 정권 초기 규제완화에 따른 집값 상승은 불가피한 현상이라고 지적합니다.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이 2014년 ‘2030서울플랜’에 담은 층수 규제입니다. 주거지역 아파트의 최고 층수를 35층으로 제한한 것이 핵심. 다만 최근 오세훈 서울시장이 이를 폐지했습니다.



과거 정권 초기 집값은 어땠더라?

놀랍게도 지난 네 차례 대선에선 집권 1~2년 차에 집값은 모두 보합 또는 하락세였습니다. KB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16대 대선이 있던 2002년 집값 변동률은 16.43%에서 이듬해 5.74%로 크게 떨어졌고, 17대 대선이 있던 2007년 집값 변동률은 3.14%였는데 2008년엔 3.11%, 2009년엔 1.46%로 하락했습니다. 19대 대선을 치른 2017년엔 1.24%였다가 이듬해에 3.16%로 반등했으나 다음 해에 0.24%로 상승폭이 줄었고요. 이를 보면 정권 초기 개발 공약 등으로 집값이 오를 거라는 기대는 100% 들어맞는 것도 아닌 듯합니다. 전문가들은 물론 ‘상승’을 점치지만요.





서울도 1순위 미달

서울에서도 1순위* 청약 미달 아파트가 나왔습니다. 1년 6개월 만입니다. 최근 강북구 한 아파트의 22개 타입 중 6개 타입이 미달됐습니다. 시장에선 전용면적 78㎡(약 32평)의 분양가를 10억5000만 원 수준으로 비싸게 책정한 게 원인이라는 평입니다. 분양가가 9억 원을 넘으면 중도금대출**을 해주지 않아 수요가 줄어드는 상황을 지적한 겁니다. 참고로 올해 서울 아파트의 평균 청약 경쟁률은 42.6 대 1입니다. 지난해 163.8 대 1의 경쟁률과 비교하면 ‘반의 반 토막’ 수준입니다. *청약자격은 1순위와 2순위로 구분되고 당첨자는 1순위에서 먼저 정합니다. 1순위 통장으로 만들기 위해선 수도권과 지방에 상관없이 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에선 통장 가입 후 2년이 지나고, 24회 이상 납입했거나 납입금이 청약 예치 기준 금액 이상이어야 합니다. **아파트를 짓는 동안 5∼6차례로 나눠 받는 대출을 말합니다. 통상 분양가의 60% 수준입니다. 이달에만 3만4559가구 대선 직후 전국에서 분양 물량이 쏟아집니다. 이달 나오는 물량만 3만4559가구입니다. 지난달(2만1494가구)보다 60.8% 많습니다. 이렇게 분양 물량이 몰리는 이유요? 대선 이슈에 밀려 청약 홍보 효과가 떨어질 걸 우려해 분양을 미룬 건설사들이 본격적으로 물량을 내놓기 때문입니다. 당장 10일부터 4차 민간분양* 사전 청약을, 16일부터는 5차 공공분양** 사전 청약 접수도 시작합니다. *삼성물산이나 현대건설 등 민간기업이 분양하는 걸 말합니다. 공공분양에 비해 분양가는 비싸지만 청약 조건은 덜 까다로운 편입니다. 공공분양으로 나온 주택보다 내부 마감재나 디자인에 신경 쓰는 것도 특징이라고 할 수 있고요. **LH나 SH 등 공공기관이 분양하는 전용면적 85㎡(약 33평) 이하의 주택을 말합니다. 무주택자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분양하기 위해 생긴 제도라 조건이 까다로운 편입니다. 56.6%가 신고가 지난 1월 서울 강남구에서 거래된 아파트의 56.6%가 신고가*를 썼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이는 2021년(57.1%), 2020년(56.4%)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정부가 주장하는 ‘하향 안정화’와는 거리가 먼 셈입니다. 단, 강남 아파트라고 팔렸다 하면 신고가를 기록하는 건 아닙니다. 재건축을 앞둔 아파트는 신고가 거래가 나오지만, 일부 단지에선 3억~4억 원씩 가격을 낮춘 사례도 볼 수 있습니다. *이제껏 거래된 것보다 더 높은 새로운 가격을 말합니다. 정부는 하락, 민간은 상승 엇갈리는 집값 통계로 시장의 혼란이 심합니다. 정부 공인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2월 넷째 주(28일) 기준 서울 집값이 0.03% 떨어져 1월 넷째 주(24일) 하락 전환한 이후 6주 연속 하락했지만, KB부동산 통계에선 같은 기간 0.01% 올랐습니다. 1월 넷째 주 기준 0.03%에서 상승폭은 줄었지만 여전히 오름세. 정부는 내렸다 하고 시장에선 올랐다 하고, 뭘 믿어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 이어집니다. 순수월세 증가 보증금이 월세 12개월 치 이하로 낮은 경우 ‘순수월세’라고 하는데, 이것의 비중이 지난해 서울 오피스텔 시장에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2011년엔 오피스텔 전체 임대 거래의 10% 수준에 그쳤지만 지난해엔 20.9%로 2배 넘게 늘었습니다. 순수월세가 늘어난 데엔 주 임차 수요인 1·2인가구와 젊은 직장인 수요가 늘어난 영향이 큽니다. 젊은 수요자들은 목돈 마련이 어렵기 때문에 보증금이 낮은 순수월세를 택한다는 분석.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서울에서 가구주 연령이 25~39세인 1·2인가구는 2011년 225만6799가구에서 2022년 246만1981가구로 9.1% 증가했습니다.


토지보상금 개인 소유 땅이 공익사업(도로 건설, 택지개발 등)을 목적으로 수용될 때 그 대가로 받는 현금이나 채권 등을 말합니다. 이 돈이 얼마나 되느냐고요? 전국적으로 1년에 약 10조 원에 이릅니다. ‘돈벼락’ 맞은 시골 땅부자 얘기, 다들 한 번은 들어보셨죠?

대토보상권 공익사업 때문에 수용되는 땅 소유자가 현금이 아닌 ‘땅’으로 보상받을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돈으로 받지 않는 이유요? 토지가 수용된 원주민의 지역 내 재정착을 돕기 위해서입니다. 또 막대한 토지보상금이 부동산시장으로 들어가는 걸 막고자 하는 이유도 있습니다.




주말에 어디 가?

어디로 여행 가고 싶은지 목록 만드는 금요일. 🌴

사진 제공. @lullu_0215

일상에서 발견한 주거의 멋진 순간을 @booding.co를 태그해 인스타그램에 올리시거나, DM으로 보내주세요. 혼자 간직하기 아까운 사진을 부딩 구독자와 공유합니다.



 

 
 
 

Comments


Commenting on this post isn't available anymore. Contact the site owner for more info.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 교보생명빌딩 15층

booding white.png

Copyright © BOODING Corp. All Rights Reserved.

  • 회색 인스 타 그램 아이콘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