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담대 금리 상단이 7%를 넘어섰습니다.
[2] 올해 40대보다 아파트를 많이 구입한
[3] 30대의 빚 상환 부담은 더 커질 전망입니다.
주담대 금리 연 7% 돌파
올해 전국에서 30대가 40대보다 처음으로 아파트를 더 많이 샀습니다. 단, 주택담보대출 최고 금리가 연 7%를 넘어서며 빚 상환 부담은 더 커질 전망입니다. 오늘 부딩은 ‘고금리 장기화: 주담대 금리 연 7% 돌파’에 대해 다룹니다.
30대가 더 샀어요
올 들어 8월까지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 27만8974건 중 30대의 매수 비중은 27.1%(7만5646건)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40대는 25.8%(7만2055건)를 차지했습니다(출처: 한국부동산원). 2019년 이후 전국 아파트 매매시장에서 30대의 매수 비중이 40대를 추월한 건 올해가 처음입니다. ① 연초 금리 안정세 ② 특례보금자리론¹⁾ 출시 ③ 최근 집값 반등세 등이 30대의 매수세를 이끌었다는 평입니다.
check! 30대가 공격적으로 집을 사는 이유요? 최근 빚의 개념을 자산을 불릴 수 있는 ‘권리’이자 ‘능력’으로 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¹⁾ 특례보금자리론: 9억 원 이하 집을 살 때 최대 5억 원까지 저금리로 빌려주는 정부표 주택담보대출입니다. 기존 주담대를 이걸로 바꿀 때는 물론 특례보금자리론을 중도상환(만기 전에 갚음)할 때도 따로 수수료를 낼 필요가 없습니다. 단, 2023년 10월 현재 특례보금자리론은 우대형(연 소득 1억 원 이하, 집값 6억 원 이하) 상품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주담대 금리 연 7% 돌파
단, 연초와 달리 주담대 금리는 치솟고 있습니다. 10월 4일 기준 5대 시중은행의 주담대 변동형 금리는 연 4.17∼7.12%(고정형은 연 4.05~6.41%)를 기록, 상단이 연 7%를 넘어섰습니다. 더욱이 연내 주담대 최고 금리가 연 8%에 육박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① 미국 추가 금리인상 예고 ② 시장금리¹⁾ 상승 등이 그 요인으로 꼽힙니다.
check! 미국이 기준금리²⁾를 연내에 7%까지 올릴 거란 예측도 있습니다. 현재 기준금리 5.25~5.5%에서 최소 1.5%p 이상 올릴 수 있다는 겁니다.
¹⁾ 시장금리: 시장 상황에 따라 자연스럽게 결정되는 금리를 말합니다. 한국은행이 개입하지 않은 금리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²⁾ 기준금리: 한 나라의 금리를 대표하는 정책금리를 의미합니다. 이것을 올리면 시중은행의 금리도 함께 오르고, 이것을 내리면 시중은행의 금리도 내려갑니다.
앞으로 전망은?
주담대 금리가 앞으로 더 치솟을 거란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① 부동산시장 빙하기 진입 ② 영끌족의 패닉셀링¹⁾ ③ 소비 여력 악화로 경기가 둔화될 수 있다는 예측을 시장에서 제기하고 있습니다. 단, 반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금리가 연 7%대에 진입했음에도 집값이 폭등한 노무현 정부 시기를 고려하면 금리가 집값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거란 주장입니다.
¹⁾ 패닉셀링: 손해를 무릅쓰고 매입한 가격보다 싼 가격에 팔아버리는 투매 현상을 말합니다.
주담대 금리는 고정형으로!
통상 금리가 오를 가능성이 있을 땐 변동형보다 고정형 금리에 대한 선호도가 높습니다. 고정형은 당장 변동형 상품보다 높은 금리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후 시장금리가 오르더라도 5년간 금리가 변하지 않습니다. 실제 은행권에서도 ‘고정형 대세론’이 입지를 굳히고 있습니다. 올 8월 은행권 신규 주담대 고정형의 비중은 76.5%로, 작년 8월 54.2%에서 큰 폭으로 뛰었습니다.
check! 주담대는 6개월마다 금리가 바뀌는 변동형과 5년간 금리가 변하지 않는 고정형(혼합형) 상품이 있습니다. 통상 우리나라에선 변동형을 선호합니다. 시장 상황을 반영해 금리가 바뀌는 변동형보다 고정형의 이자율이 일반적으로 더 높아섭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은행권 주담대 잔액 기준으로 고정형과 변동형의 비중은 3 대 7 정도입니다.
전셋값 10주 연속 상승
전국 아파트 전셋값이 10주 연속 올랐습니다(출처: 한국부동산원). 특히 9월 25일 조사에선 서울(0.17%)과 경기(0.26%), 인천(0.16%) 등 수도권과 세종(0.24%)의 전셋값 상승률이 높았습니다. “전세 매물이 부족함에도 특정 지역의 임차 수요가 늘며 전셋값 상승세를 주도했다”는 평입니다.
서울 국평은 10억 원?
‘서울 국평¹⁾ 분양가는 10억 원이 기본’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실제로 7∼9월 서울에서 나온 전용면적 84㎡(약 33평) 기준 분양가는 대부분 10억 원을 넘어섰습니다. 올 8월 서울의 민간분양²⁾ 1㎡(약 0.3평)당 평균 분양가는 963만5000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6.5% 올랐습니다.
¹⁾ 국민 평형(국평): 전용면적 84㎡ 아파트를 말합니다. 1980년대만 해도 이는 중대형에 가까운 면적이었지만, 소득 수준이 늘고 삶의 질이 높아지며 아파트의 대표 면적이 됐습니다.
²⁾ 민간분양: 삼성물산이나 현대건설 등 민간기업이 분양하는 걸 말합니다. 공공분양(뉴:홈)에 비해 고급화가 이루어져 분양가는 비싼 편입니다.
저가주택 기준 1억6000만 원으로 상향
정부가 청약 시 ‘무주택’으로 간주하는 소형·저가주택 기준을 기존보다 3000만 원 올린 공시가격¹⁾ 1억6000만 원 이하(수도권 기준)로 고쳤지만, 시장의 반응은 뜨뜻미지근합니다. 서울 주택 시세를 고려하면 그 기준이 너무 낮다는 겁니다. 공시가격 1억6000만 원을 시세로 환산하며 2억4000만 원 안팎입니다.
¹⁾ 공시가격: 정부가 세금을 부과하기 위해 직접 조사해 정한 부동산 가격을 말합니다. 이는 통상 실거래가보다 낮게 책정합니다. 너무 높게 잡으면 국민 부담이 늘어섭니다.
월세 가장 싼 역세권은 1호선
서울 지하철 역세권(역을 중심으로 반경 750m 이내) 중 원룸 평균 월세가 가장 낮은 곳은 1호선 인근(보증금 1000만 원 기준 45만 원)으로 조사됐습니다(출처: 다방). 반면 8호선 인근은 평균 월세가 61만 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서 9호선 인근(60만 원), 2호선 인근(58만 원) 순이었습니다.
연말부터 주담대도 스마트폰으로 대환
올 연말부터 주택담보대출(주담대)과 전세대출도 온라인 비교 플랫폼을 통해 금리가 더 낮은 상품으로 쉽게 갈아탈 수 있습니다. 신용대출만 가능하던 대환대출 인프라를 주담대 등으로 확대하는 덕입니다. 주담대는 19개, 전세대출은 16개 대출 비교 플랫폼이 대환대출 인프라에 참여합니다.
가벽 복도의 허전함을 채우는 원목 거울(사진 우측)
#40 허전한 가벽과 작은 거울 우리 집 거실 끝엔 가벽으로 만든 작은 공간이 있다. 지금은 수납공간이 부족해 팬트리로 사용하지만, 실은 언젠가 미니멀리스트가 돼 팬트리가 필요 없어지면 안마의자를 두고 음악을 들으며 마사지를 받는 공간으로 활용하는 상상을 하며 만들었다. 이 공간 때문에 거실 끝엔 없던 벽이 들어서 작은 복도가 생겼는데, 원래는 이곳에 유리블록을 한 단 넣어 창문처럼 빛을 투과하는 부분을 추가하고 싶었다. 하지만 짧은 공사 기간과 예산 문제로 결국 창문 비슷한 유리블록은 넣지 못했다. 여러 요소를 더하는 건 결국 멋 부리기에 지나지 않는다고, 미니멀리스트가 되려면 조금은 밋밋한 집이 어울린다고 스스로 위로하며 집 리모델링을 마쳤다. 이사 와서 짐을 풀자 가구와 소품이 온 집 안을 가득 채웠다. 이전 집에 비해 그렇게 작은 집도 아닌데 말이다. 아무래도 미니멀리스트가 될 수 없을 것 같은 나는 새로운 가벽 복도의 허전함이 묘하게 신경 쓰였다. 지금이라도 창문을 만들까? 그림을 걸까? 온갖 생각을 하던 어느 날, 전신 거울을 사러 간 동네 빈티지 가구점에서 작고 둥근 원목 거울을 발견했다. 창문이나 유리블록, 그림 따위를 대신할 물건으로 이보다 완벽한 것이 있을까? 마치 원래 우리 집에 있던 것 같은 그 거울을 사지 않을 수 없었다. 집으로 돌아와 가벽에 거울을 걸었다. 반짝임이 필요한 곳엔 거울을 추가하면 좋다는 사실을 새삼 깨달았다. 침실에서 거실로 나가는 길목에 걸린 그 거울엔 하루 중 가장 먼저 만나는 내 모습이 담긴다. 매일 아침, 그곳에 거울이 걸려 있는 모습에 흡족한 내가 그 안에서 웃고 있다.
뉴타운
지역의 ‘자체’ 개발이 아닌 ‘정책’에 의해 시행하는 좀 더 큰 재개발사업을 말합니다. 찔끔찔끔 아파트 단지 몇 개를 짓는 게 아닌, 동(洞) 전체를 싹 밀고 광역 아파트 단지로 만드는 거로 이해하면 쉽습니다. 서울 강북의 길음뉴타운, 미아뉴타운 등이 대표적입니다.
재개발 오래된 빌라와 건물, 도로, 상하수도 등을 헐고 아파트로 새로 지어 주거환경과 도시미관을 바꾸는 사업입니다. 이는 공공의 성격도 일부 가지고 있습니다. 통상 이 계획을 들고 오는 쪽은 지방 정부이기 때문입니다. 낡은 아파트를 헐고 새 아파트를 짓는 ‘재건축’과 헷갈리지 마세요.
둘레길에서
북한산 둘레길에서 봄.
사진 제공. @film_cheche
Comments